전체 글 59

민생 경제와 결혼·출산·양육과 청년 자산형성을 위해 2024년부터 바뀌는 세제 혜택은?

2024년부터 민생 경제와 출산, 결혼, 양육 가정을 위한 세제 혜택과 민생 경제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각종 제도가 변경됩니다. 2024년부터는 신생아 출산 가구에 대한 주택구입과 전세자금 융자가 지원됩니다. 또한 신혼부부가 양가로부터 결혼 자금으로 지원받은 총 3억 원 한도까지는 증여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자녀장려금도 80만원에서 최대 100만 원으로 상향되고 출산 자녀와 함께 거주할 목적으로 주택을 취득할 경우 취득세가 500만 원 한도 내에서 100% 감면해 줍니다. 2024년부터 결혼·출산·양육과 청년 자산형성을 위해 새로 도입되거나 달라지는 제도와 각종 세금 등에 대해 알아봅니다. 결혼 출산 양육 지원을 위한 세제 혜택 1. 신생아 특례 주택구입 및 전세자금 대출 신설 2024년 1..

경제 상식 2023.12.20

기준금리 인상·인하가 경기에 미치는 영향은?(feat. 금리역전, 유동성함정, 캐리 트레이드)

일반적으로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한 주요한 2가지 방법은 정부의 재정정책과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이 있습니다. 기준금리(key interest rate)는 각종 금리의 지표가 되며 한 국가를 대표하는 금리로 나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시중은행 금리는 돈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지만,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은행, 금융회사 등과 거래할 때 기준이 됩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의원회애서는 매달 둘째 목요일 아침에 국내 물가, 국내외 경제와 금융시장 등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 기준 금리 인상과 인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유동성함정, 캐리 트레이드, 와타나베 부인 등의 용어에 대해 알아봅니다. 정부 지출 조절하는 재정정책 & 금리를 통해 통화량 조절하는 통화정책 재정정책과 통화정..

경제 상식 2023.12.16

흡수합병(Mergers and Acquisitions, M&A) 종류와 사례 알아보기

인수합병(Mergers and Acquisitions)이라는 용어는 라틴어인 'Mergers'와 'Acquisitions'에서 유래했습니다. Mergers(합병)는 'Mergers'는 라틴어 'mergere'에서 유래되었으며, "합치다", "결합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용어는 두 개 이상의 기업이 합쳐지거나 결합하여 새로운 기업이나 조직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Acquisitions (인수)는 'Acquisitions'는 라틴어 'acquirere'에서 비롯되었으며, "획득하다"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이 용어는 한 기업이 다른 기업을 인수하거나 흡수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인수합병(Mergers and Acquisitions, M&A)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두 용어를 결합하여, 기업..

경제 상식 2023.12.15

워런 버핏이 '최고의 투자서'로 극찬한 벤저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

벤저민 그레이엄(Benjamin Graham, 1894년 5월 9일 ~ 1976년 9월 21일)은 영국 출생의 20세기 미국의 투자가이며 경제학자입니다. 그는 증권 분석의 창시자이며 가치투자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벤저민 그레이엄은 미국 금융 시장을 좌지우지하는 큰손들인 워런 버핏, 월터 슐로스, 톰 냅, 빌 루엔 등 스승으로도 유명합니다. 번저민 그레이엄의 투자 가치관을 잘 설명하는 ≪현명한 투자자≫에 대해 알아봅니다. 벤저민 그레이엄, 가치투자의 아버지 벤저민 그레이엄'가치 투자'란 기업의 진정한 가치를 장기적으로 보는 안목과 소문에 휘둘리지 않고 안전마진을 추구하는 자세를 통해 기업의 진정한 가치를 따져 손해보지 않고 투자하는 것을 뜻합니다. 벤저민 그레이엄은 1914년 그의 나이 스무 살에 ..

경제 상식 2023.12.14

강한 규제에 대한 반격, 규제 사각지대의 '풍선효과'

풍선 효과(風船效果 / Balloon effect)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면 다른 문제가 또 불거지는 현상으로, 마치 풍선을 누르면 다른 쪽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과 비슷하다고 하여 생긴 표현입니다. 풍선효과와 핀셋규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은 경제 관련 이슈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주로 정부의 현실성 없는 제한된 규정, 인위적인 정책이 공급과 수요로 이루어지는 시장의 흐름을 조절할 수 없다는 의미 등 핀셋규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습니다. 풍선효과와 역풍선효과 등의 뜻과 사례에 대해 알아봅니다. 풍선 효과(風船效果 / Balloon effect) 풍선효과란 사회적으로 어떤 사안이나 특정분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규제나 제지를 하면 또 다른 분야에 문제가 생기는 현상을 뜻 합니다. 풍선효과라..

경제 상식 2023.12.11

자유시장의 균형이 만드는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vs 케인스의 정부의 '보이는 손'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ad)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은 영국 고전 경제학자인 애덤 스미스(Adam Smith, 1723년 6월 5일 ~ 1790년 1월 12일) 가 자신의 저서인 '국부론(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1776)'과 '도덕감정론(The Theory of Moral Sentiment, 1959)'에서 사용한 용어입니다. '보이지 않는 손'은 시장에서 개개인의 모든 이해관계가 결국 자연적으로 조화를 이루어 나간다 것을 뜻합니다. 즉 시장 경제에서의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자율적인 선택으로 이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공공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게 된다는 점..

경제 상식 2023.12.10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스노브 효과(snob effect), 비쌀수록 잘 팔린다

일반적으로 제품 가격이 오르면 수요는 줄어들게 됩니다. 하지만 가격이 올라도 수요의 변화가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과시적 소비를 즐기는 개인 소비자들은 낮은 가격이 상품 대신 남들과 대비되는 소위 명품 구매를 통해 남보다 돋보이고 싶어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현상은 바로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라고 합니다. 비쌀수록 잘 팔리는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와 스노브 효과(snob effect)에 대해 알아봅니다.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 뜻과 사례는?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는 미국의 경제학자인 쏘스타인 베블린(Thorstein Veblen)이 1899년 출간한 '유한계급론( Theory of the Leisure Class)'에서 "상류계급의 두드러진 ..

경제 상식 2023.12.08

그레샴의 법칙(Gresham's law), 짝퉁이 진품을 이긴다

그레샴의 법칙(Gresham's law)은 16세기 영국의 금융업자이자 사업가였던 토머스 그레샴이 금본위제의 경제 상황에서 주장한 화폐유통에 관한 경제 이론으로 흔히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몰아낸다)'라고도 표현됩니다. 그레셤의 법칙에 따르면, 소재 가치가 다른 화폐가 동일한 명목 가치로 통용되면, 소재 가치가 높은 화폐(Good Money)는 유통시장에서 사라지고 소재가치가 낮은 화폐(Bad Money)만 유통되게 된다고 합니다. 그레샴의 법칙은 경제용어였지만, 요즘은 정품이 짝퉁을 이긴다는 뜻으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레샴의 법칙(Gresham's law)에 대해 알아봅니다. 그레샴의 법칙(Gresham's law),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 과거 영국에서는 귀금속인 금화와 은화를 화폐로 유통했는데..

경제 상식 2023.12.07

하루 현금입출금 1천만원 이상 고액현금 거래 보고·추정상속재산·증여입증책임

꼬리표가 없는 현금은 자금 출처의 추적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고액 입출금에 대해서는 금융정보분석원과 국세청에서 살펴보고 탈세 혐의가 있으면 세금을 추징합니다. 그리고 상속일로부터 1년 이내 2억, 2년 이내 5억 이상의 현금 인출 시 추정상속재산으로 간주되어 세금을 납부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고액현금 거래 보고와 추정상속재산, 증여입증책임에 대해 알아봅니다. 고액현금 거래 보고란? 하루에 현금 입출금이 1천만원을 넘어가면 자동으로 현금입출금 내역이 금융정보분석원에 보고됩니다. 이를 고액 현금거래보고라고 합니다. 이렇게 은행으로부터 받은 정보 중에 금융정보분석원은 탈세 혐의가 있다고 판단되는 건들에 대해 국세청에 세무조사를 하라고 알려주게 됩니다. 반대로 국세청에서 탈세 증거자료를 찾기 위해 현금거래 ..

세금 이야기 2023.12.06

트리클다운(Trickle-down effect 낙수효과) vs 분수효과(tricle-up effect) 뜻과 사례는?

낙수효과 (Trickle-down effect 트리클다운)과 분수효과(tricle-up effect 트리클업)는 경제학에서 소득 재분배의 효과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고소득층의 소득 증가로 보는 낙수효과와 저소득층의 소득 증대가 경제를 활성화시킨다는 분수효과는 경제정책의 주체를 누구로 놓고 보느냐에 따라 구분됩니다. 낙수효과와 분수효과의 뜻과 사례 그리고 트럼프 감세에 대해 알아봅니다. 트리클다운(영어로 Trickle-down effect, 낙수효과, 적하효과) 이론이란? 낙수효과의 이론적 창시자는 고전경제학자인 영국의 애덤 스미스 입니다. 애덤 스미스(Adam Smith, 1723년 6월 5일 ~ 1790년 1월 12일)는 영국의 정치경제학자로 '국부론'과 '보이지 않는 손'의 저자이며 경제학의 아버지..

경제 상식 202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