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9

골디락스(Goldilocks)경제와 근원물가지수 관계(feat. 금발머리와 곰 세마리)

골디락스(Goldilocks) 한 용어는 경제가 성장 국면인데도 물가는 상승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를 뜻하는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경제는 고성장을 거듭하면 국민소득이 늘고 물가는 오르게 됩니다. 그리고 국민소득이 줄어들면서 물가는 내려가는데, 골디락스는 고성장에도 안정적인 물가가 유지되는 상태의 바람직한 상황을 뜻합니다. 골디락스(Goldilocks)의 유래와 골디락스경제, 근원물가지수, 근원소비자물가지수 등에 대해 알아봅니다. 골디락스(Goldilocks) 유래는? 골디락스(Goldilocks)는 '금(gold)'과 '머리카락(lock)'의 합성어로 '금발머리'라는 뜻입니다. 경제와 아무런 관계도 없어 보이는 골디락스란 표현이 어떻게 생겨났을까요? 골디락스는 영구의 낭만파 시인 로버트 사우디가 1837..

경제 상식 2023.11.22

파레토의 법칙: VIP 마케팅의 근거, 20%의 소비자가 전체 매출의 80% 차지한다

이탈리아 출신 경제학자인 빌프레도 파레토(1848~1923)는 1896년 콩을 재배하다가 역사적으로 유명한 통계학적 사실을 발견합니다. 품질 좋은 콩알이 열리는 개수는 소수지만, 그 소수의 개체들이 전체 콩수확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을 알아낸 것이죠. 파레토는 이것을 경제학에 접목시켜 영구의 부와 소득의 유형을 연구했고 '전 인구의 20%가 전체 부의 80%를 차지하고 있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이는 파레토의 법칙( Pareto's law)이며 흔히 '20대 80 법칙' 또는 '불균형의 법칙'으로 불리는 이 현상은 훗날 사회 전반의 영역에도 적용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파레토 법칙 '20대 80의 법칙' 에 대해 알아봅니다. 파레토의 법칙( Pareto's law)과 VIP마케팅 파레토의 법칙(..

경제 상식 2023.11.21

흑자부도(흑자도산): 숫자상의 이익과 현금 흐름의 불일치

뉴스나 영화, 드라마에서 기업의 부도라는 말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부도(不渡)의 사전적 정의는 어음이나 수표를 가진 사람이 기한이 되어도 어음이나 수표에 적힌 돈을 지급받지 못하는 일입니다. 기업부도는 기업계좌에 현금이 부족해 대금결제를 할 수 없어 당좌거래가 정지된 상황을 말합니다. 기업부도의 주요 원인은 판매 부진, 판매대금 회수 지연, 무리한 사업확장, 거래처 연쇄 부도 등이 있습니다. 그런데 기업이 이익상태에서 발생하는 흑자부도 흔히, 흑자도산이라고도 불리는 경제용어를 한 번쯤 들어본 적이 있을 겁니다. 숫자상의 이익관 현금 흐름(유동성)의 불일치로 발생하는 흑자부도(흑자도산)와 현금흐름표의 관계 등에 대해 알아봅니다. 흑자도산( 黑字倒産, Insolvency despite profit )..

경제 상식 2023.11.20

경제학에서의 유동성 지표(feat. 유동성비율, 유동성 함정, 유동성 리스크)

2023년 '유동성 관리'가 기업들의 최대 과제로 부각되었습니다. 고금리, 경기 침체의 장기화와 국제 정세의 불안정성 때문에 2023년 초 기업들은 자산 매각과 유상증자, 회사채발행 등을 통해 유동성 확보에 힘썼는데요. 돈이 시장에 원활하게 순환되지 않아 자금 경색 상황인 돈맥경화는 피가 우리 몸에 제대로 돌지 않아 생기는 동맥경화처럼 우리나라와 세계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언론에서 자주 언급되는 유동성의 뜻, 유동성비율, 유동성 리스크(위기), 유동성 함정 등에 대해 알아봅니다. 유동성(流動性 market liquidity)의 뜻 유동성의 용어적 기원은 중세 라틴어인 'Liquidus' 에서 비롯되었습니다. 'Liquidus'는 액체나 유동성이 높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로, 물체가 쉽게 흐르..

경제 상식 2023.11.19

출구전략과 기준금리 인상 관계는?

뉴스를 보면 '출구전략'이란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출구전략( 出口戰略 exit strategy)이란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취했던 경제정책들을 다시 정상적인 수준으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출구전략은 대개 좋지 못한 상황을 벗어나는 수단을 뜻합니다. 출구전략은 원래 군사용어로 군대를 안전하게 전선 밖으로 퇴각시키는 시나리오를 뜻합니다. 출구전략은 베트남전쟁 때 미국 국방부에서 처음 사용했는데, 승산없는 베트남전쟁에서 인명이나 물자 손실을 최소하하면서 군대를 철수시키는 작전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출구전략은 기업 경영전략으로 자주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기업은 적자가 지속되고 개선 여지가 없을 때, 더 큰 손실을 막기 위해 진행중인 사업을 중단하거나 매각하여 출구전략을 모색합니다. 199..

경제 상식 2023.11.18

인구절벽 대한민국, 결혼·출산 파업으로 국가소멸 위기

'인구절벽'은 어느 순간을 기점으로 한 국가나 구성원의 생산가능인구(working age polpluation)가 급격히 줄어들어 인구 구조가 마치 절벽이 깎인 것처럼 역삼각형 분포가 되는 것을 뜻합니다. 인구절벽 상태에서는 투자·소비·고용이 감소하고 생산성이 떨어집니다. '인구절벽'이란 용어는 미국의 유명한 경제 예측 전문가인 해리 텐트(Harry Dent)가 2014년 발간한 에서 유래합니다. 인구지진 (age quake) 인구지진은 인구 감소와 고령사회의 충격을 지진(earthquake)에 빗댄 말로 영국의 인구학자 폴 월리스가 저서 『인구지진』을 통해 만든 용어이다. 월리스는 인구지진이 자연현상인 지진보다 더 파괴력이 크며, 자연 지진의 최강도 규모인 9.0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특히 베..

경제 상식 2023.11.17

레드오션 속의 블루오션, 퍼플오션

경제 용어에는 오션(ocean 바다, 해양)이 들어간 용어가 많습니다. 레드오션(Red ocean)은 '경쟁이 매우 치열해서 붉은 피로 물든 것 같은 시장'을 뜻 합니다. 레드오션은 이미 산업이 자리잡은 상태라 경쟁자가 많아 고객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하는 상태 즉 경제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치킨 시장'과 같은 말입니다. 반대로 블루오션(Blue Ocean)은 '경쟁자 없이 평화롭게 지낼 수 있는 넓고 광활한 푸른 바다'를 뜻 합니다. 블루오션은 INSEAD(유럽, 아시아, 중동, 북아메리카의 캠퍼스들을 관리하는 비영리 경영대학원) 의 김위찬 교수와 러네이 모본 교수가 창안한 용어입니다. 블루오션은 경쟁재가 거의 없는 유망 시장 또는 대안 시장이기 때문에 시장수요는 경쟁이 아닌 창조에 의해 ..

경제 상식 2023.11.16

기업 평판에 악영향을 끼치는 블랙 컨슈머 대응 매뉴얼과 처벌법

블랙컨슈머는 악성을 뜻하는 블랙(Black)과 소비자(Cosumer)의 합성으로 만들어진 신조어입니다. 블랙컨슈머는 소위 '진상 소비자'로서 자신이 구매한 상품의 교환이나 보상금을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기업에 악성 민원을 제기하는 소비자를 말합니다. SNS를 통해 각종 검증되지 않은 소문이 일파만파 삽시간에 퍼질 수 있는 시대인지라, 기업은 블랙컨슈머들로 골치를 고통을 받기도 합니다. 프로슈머나 팬슈머와 반대되는 약성 소비자로 기업 평판에 악영향을 끼치는 기업이 가장 큰 골칫거리이기도 합니다. [프로슈머, 팬슈머 관련 글 보기] 2023.11.15 - [경제 상식] - 프로슈머, 팬슈머 다양한 참여형 소비자가 트렌드를 주도한다 예전에는 블랙컨슈머의 요구에 기업이 적당히 응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최근에는 착..

경제 상식 2023.11.16

프로슈머, 팬슈머 다양한 참여형 소비자가 트렌드를 주도한다

이제 단순하게 소비만 하는 소비자(consumer)는 자신만의 가치에 따라 독특한 소비방식을 확장시키면서 다양한 소비자를 지칭하는 용어가 생겨났습니다. 프로슈머 (Prosumer)와 팬슈머 (Fansumer)가 기존의 소비자 영역을 넘어서 이제는 트렌드를 주도하는 시대입니다. 그리고 다양한 취향을 반영한 '슈머'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소비자가 광고 제작 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애드슈머(adsumer= advertising+comsumer) 환경을 직접 생각하는 그린슈머(greensumer) 기존 제품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창조하는 모디슈머(modisumer=modify+comsumer) 제품 가격과 효능, 실용성 등을 꼼꼼하게 파악하는 소비를 뜻하는 스마트슈머(Smartsumer) 소용량 1인 제품만 선..

경제 상식 2023.11.15

2024년 생활 체감형 청년 복지 정책: 국가기술자격 시험 응시료 감면, 지하철·버스 통합 정기권 ‘K(케이)-패스

2023년 9월 1일 기획재정부과 발표한 2024년 20대 과제 중 ‘생활 체감형 청년 정책’을 위한 예산안이 있습니다. 생활 체감형 청년 정책은 청년들이 실생활에서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국가기술자격 시험 응시료 감면, 지하철·버스 통합 정기권 ‘K(케이)-패스’ 정책이 새롭게 도입됩니다. 국가기술자격 시험 응시료 50% 감면 2022년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응시자는 약 162만 명입니다. 국가기술자격 시험 응시료 감면 혜택 대상자는 만 34세 이하 구직 청년들입니다. 만 34세 이하 구직 청년이 산업인력공단이 수행하는 493개 국가기술자격시험에 응시할 경우 연 3회, 응시료 50% 감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가기술자격시험의 응시료가 최소 1만5000원, 최대 20만1100원 입니다. 만 34..

각종 생활정보 2023.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