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상식

레드오션 속의 블루오션, 퍼플오션

꿈꾸는 지식노마드 2023. 11. 16. 12:44
728x90

경제 용어에는 오션(ocean 바다, 해양)이 들어간 용어가 많습니다.

 

레드오션(Red ocean)은 '경쟁이 매우 치열해서 붉은 피로 물든 것 같은 시장'을 뜻 합니다.

레드오션은 이미 산업이 자리잡은 상태라 경쟁자가 많아 고객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하는 상태 즉 경제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치킨 시장'과 같은 말입니다. 

 

반대로 블루오션(Blue Ocean)은 '경쟁자 없이 평화롭게 지낼 수 있는 넓고 광활한 푸른 바다'를 뜻 합니다.

블루오션은 INSEAD(유럽, 아시아, 중동, 북아메리카의 캠퍼스들을 관리하는 비영리 경영대학원) 의 김위찬 교수와 러네이 모본 교수가 창안한 용어입니다.

블루오션은 경쟁재가 거의 없는 유망 시장 또는 대안 시장이기 때문에 시장수요는 경쟁이 아닌 창조에 의해 만들어지고  시장판도도 본인 노력 여하에 따라 성공할 수 있습니다. 블루오션 시장은 모방이 가능한 기술과 디자인보다 모방이 가능하지 않은 영역에 적합하며 컨셉과 아이디어로 차별화 전략을 통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합니다.

 

그렇다면 블루와 레드를 섞었을 때 나올 수 있는 보랗빛을 뜻하는 '퍼플오션(Purple ocean)'은 어떤 시장일까요?


퍼플오션(Purple ocean)

레드오션의 대중성과  블루오션 독창성,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시장

'퍼플 오션(Purple Ocean)'은 기업이 새로운 시장 공간을 발견하거나 창출하여 경쟁이 적고 수익성이 높은 시장을 뜻하는 경제 용어입니다. 퍼플 오션(Purple Ocean)은 레드 오션(Read Ocean)과 블루 오션(Blue Ocean)의  장점만을 조합한 새로운 시장을 뜻 합니다.

퍼플 오션을 통해 기업은 새로운 시장을 창출함으로써 신가치를 창출하고 신규 수익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기존 시장(레드오션)에서의 경쟁은 치열하고 수익율이 낮을 수 있지만, 퍼플 오션은 경쟁이 적고 수익성이 높은 새로운 시장이기 때문입니다. 

즉 퍼플오션은 기업 입장에서는 블루오션을 찾는 데 따르는 위험과 비용은 최소화하면서 차별화 전략을 통해 레드오션의 부작용을 피할 수 있는 '꿩 먹고 알 먹는' 일석 이조의 시장인 셈입니다.

 


The ability to learn faster than your competitors may be the only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경쟁자보다 더 빠르게 학습하는 능력은 유일한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일지도 모른다.

 

 

<출처: 클레이튼 크리스텐센 <Clayton Christensen)의 저서 'Innovator's Solution'>

 

 


퍼플오션(Purple ocean) 전략

퍼플 오션(Purple Ocean) 전략은 기업이 혁신적인 제품, 서비스, 가치 제안을 통해 새로운 수요를 만들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여 경쟁사와 구별되는 독특한 위치를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는 기존 시장에서 경쟁을 피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함으로써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전략적인 접근 방식을 가리킵니다.

 

하버드 비지스 스쿨의 마이클 포터 교수는 ' 차별화는 경쟁 전략의 핵심이다. 그것은 자기만의 가치체계를 전달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차별적 할동을 선택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퍼플오션 전략은 현대적 온고지신(溫故知新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퍼플오션 전략의 대표적인 예는 소재 하나를 서로 다른 장르에 적용해 파급효과를 증대시키는 '윈소스 멀티유즈(OSMU: One Source Multi Use)'가 있습니다. 이 전략은  제품, 자원 또는 기술 등을 여러 용도로 활용하거나  하나의 자원 또는 기능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가치를 최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윈소스 멀티유즈(OSMU: One Source Multi Use) 전략을 가장 잘 활용하는 나라는 바로 일본입니다.

일본의 경우 만화가 성공하면 그 만화를 원작으로 드라마나 영화를 만들고 사진과 캐릭터 상품으로 응용해서 하나의 원작을 최대한 활용합니다.

우리나라도 인기 웹툰 원작인 '미생', '치즈인더트랩', '신과 함께', '무빙' 등이 드라마나 영화로 제작되어 인기를 끌었는데, 이미 검증받은 콘텐츠의 사용으로 실패할 위험을 줄이고 제작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있었습니다.

 

새로운 퍼플오션을 창출한 또 다른 사례로 식품업계에서는 즉석밥시장이 있습니다.

즉석밥시장은 1990년대 이후 여성의 경제활동, 전잘인지 보급률 증가와 맞물려 폭발적으로 성장했습니다.

CJ는 '갓 지은 밥 맛'을 내세워 햇반이라는 브랜드로  당시블로오션인 즉석밥 시장을 선점했습니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경쟁사들의 진입으로 즉석밥 시장이 레드 오션 시장이 되자, 2007년 건강을 걱정하는 현대인들의 니즈를 읽고 잡곡밥을 신상품으로 출시했습니다. 

이 외에 환자용으로 개발된 '물 없이 머리감는 샴푸'도 일반 고객용 삼푸를 개선한 퍼플오션 상품입니다. 

 

역전에프앤씨가 운영하는 역전할머니맥주는 포화 상태의 스몰비어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살얼음맥주’로 차별화된 퍼플오션 전략을 이용했습니다. 소기업 중 프링글스 감자칩을 담는 원형 컴포지트캔 전문기업인 소노코(Sonoco)는 레드오션이던 포장재 시장을 퍼플오션으로 바뀐 사례입니다.


 

소규모 업체 성공 전략 사례

1.  적극적인 홍보

던킨도너츠는 주변 커피전문점들이 커피가격을 최대 7%로 인상할 때 1월 한 달 동안 5년전 가격인 1,900원에 판매했습니다. 한국맥도날드도 대형 커피 프렌차이즈인 스타벅스와 커피빈을 겨냥해 '이제 별도 콩도 잊어라'는 도발적인 광고카피를 이용해 2,000원의 저렴한 가격으로 실속형 소비자들을 겨냥한 마케팅을  진행했습니다.

 

2.  공동 마케팅 전술

공동 마케팅은 고객 호환이 가능한 업종끼리 구매 고객을 공유하면서 고객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한꺼번에 평소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상당히 유용한 마케팅 전술입니다.

더페이스샵은 자사의 전국 매장에서 주요 타킷층을 20~30대 여성으로 잡고 한국코카콜라의 웰빙음료인 미넷메이드 스타일워터를 공짜로 나누어주면서 공동마케팅을 진행했습니다.

 

3.  덤 얹어주기

제품 가격의 소폭 할인만으로는 소비자의 구매욕를 높이는데 그다지 효과가 없습니다. 할인율을 낮추는 것보다는 싼 사은품이더라도 덤을 얹어주는 것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요즘에는 치약, 휴지, 라면 등 생필품을 3~5개 사면 하나를 덤으로 주는 덤 마케팅이 고가의 가전제품(냉장고+김치냉장고,  TV+ DVE플레이어, 세탁기+건조기 등)으로도 확장되었습니다. 수익성을 고려한 덤 마케팅은 소비자의 구매심리를 높이고 단골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4.  충성고객 확보 관리

불경기에는 신규 고객 개척에 판촉 비용을 쓰는 것보다는 기존 고정 고객을 잘 관리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특히 주류나 외식업 매출에는 '20대80 법칙'이 적용되는데, 이는 20%의 충성 고객이 80%의 매출을 차지한다는 뜻입니다. 

 

5.  고객의 스트레스(불만) 요인 개선

사당역 주변은 유동인구가 많고 번잡한 골목이 많아 주차가 꽤나 힘든 곳입니다. 이곳에 위치한 모 프렌차이즈업체서는 모든 고객에서 무료주차권이 필요한지 먼저 묻고 주문을 받습니다. 사소해보이지만 주차에 스트레스를 받는 고객 불만을 사전에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해준 덕분에 해당 업체는 인근의 경쟁업체보다 더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퍼플 오션 전략은 기업이 혁신과 창의성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함으로써 성공을 이루는 방법 중 하나로, 기업들이 자사 제품이나 서비스를 경쟁사와 차별화시키고 비용 절감을 위해 적용하는 전략적인 접근법입니다.

 

물론 블루오션과 퍼블오션도 언젠가는 레드오션 시장이 됩니다.

대중의 욕구는 끊임없이 진화하고 경쟁자는 생겨나기 마련이니까요.

 

오랜 기간 동안 고객들의 눈길을 끌고 시장에서 지속적 성장과 경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혁신과 차별화가 전략만이 경쟁에서 승리할 수는 방법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