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소성(scarcity, 稀少性)이란 '사람의 욕망에 비해 그것을 모두 만족시킬 만큼 자원이 충분히 있지 않다'는 뜻입니다.
인간의 욕구(욕심)는 무한하며 항상 자신이 소유하고 있거나 자신의 소득으로 살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원합니다.
모든 사람이 갖고 싶어 하지만 실제로 가질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할 경우, 그 물건의 가치는 그만큼 올라가게 마련입니다. 일부 기업에서는 사람들의 희소성 심리를 적극 활용한 마케팅 전략을 펼칩니다. 바로 한정판 제품(限定版 limited edition) 제품을 들 수 있죠.
희소성의 법칙(원칙), 한정판 마케팅의 뜻과 사례, 솔드 아웃(Sold Out)에 대해 알아봅니다.
한정판 마케팅
한정판 제품, 리미티드 에디션(혹은 스페셜 에디션)은 소비자에게 이번 기회가 아니면 다시는 구입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전달해 소비욕구를 자극하는 마케팅 기법입니다.
한정판(限定版) 또는 스페셜 에디션(special edition)은 마케팅의 일환입니다. 한정판 마케팅과 스페셜 에디션 마케팅은 제품 또는 서비스에 특별한 가치를 부여하여 소비자의 관심을 끌고 매출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되는 전략입니다.
기업체가 이처럼 한정판 제품을 내놓는 이유는 제품의 희소성이 소비자의 소비욕구를 더욱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기업 입장에서는 단시간에 제품을 쉽게 팔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서 한정판 판매는 틈새전략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희소성의 법칙(원칙)
희소성의 법칙은 경제학과 마케팅 분야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한정 수량 제품으로 소비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수요을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소비자에게 한정판 발매, 스페셜 에디션 출시, 특별한 경험 제공 등을 통해 희소성을 강조하여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어내는 마케팅 기법에 활용됩니다.
희소성·희귀성의 법칙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한정된 수량
어떤 상품이나 자원이 제한된 수량으로만 존재하는 경우, 그것의 가치는 자연스럽게 높아집니다. 이는 한정판 제품, 희귀한 자원 또는 소수의 사람들만을 위한 특별한 서비스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명품 브랜드의 한정판 핸드백, 로렉스의 특별 디자인 한정판 시계, 자동차 브랜드들의 특별 에디션 모델 등은 한정된 수량을 판매합니다.
유명 브랜드의 한정판 상품은 희소성 때문에 소장 가치가 큽니다. 이 때문에 상품을 구매한 뒤 시장에 되파는 '리셀' 시장에서 재태크 가능성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2. 고유성과 독창성
어떤 상품이나 서비스가 독특하고 고유한 특성을 갖추고 있다면, 그것의 가치는 더욱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는 예술 작품, 컬렉터 아이템, 특별한 경험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미술품 시장에서 유명 화가의 작품은 독보적인 고유성과 독창성 때문에 매번 높은 경매가를 갱신하게 됩니다.
파블로 피카소의 '알제의 여인들(1955년)'은 2016년에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서 한화 약 2,217억 원에 낙찰되었습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살바토르 문디(Salvator Mundi, 구세주)'는 2017년 30대의 사우디아라비아 왕자가 크리스티 경매에서 한화 약 5,500억 원에 낙찰받았습니다. 작품의 구매자인 바드르 빈 알둘라 빈 무함마드는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의 측근이라고 합니다.
3.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상황에서도 희소성의 원칙이 작용할 수 있습니다. 수요가 높을수록, 제한된 수량의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경쟁이 더 치열해지고 가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튤립 버블(Tulip Bubble)은 17세기 네덜란드에서 일어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일어나 유명한 현상 입니다.
1630년대 초기, 튤립 꽃의 가치가 급격하게 상승하며 사람들은 이 꽃을 투자 수단으로 활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네덜란드에서 튤립 한 뿌리의 가격은 약 3천길더까지 뛰었는데 지금 가격으로 대략 9만 유로(한화 기준 약 1억 3천만 원)에 달합니다. 결국 이에 따른 거품이 불거지면서 시장은 붕괴되었습니다. 이 현상은 수요가 늘어나자 그에 따라 공급이 따라오지 못하고 가격이 불균형하게 상승하여 발생한 전형적인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한 버블 사례입니다.
한정판 마케팅 사례
다양한 산업과 브랜드에서 희소성 마케팅 전략을 활용한 사례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음반이나 DVD 등 제품들을 발매할 때 따로 보너스 곡이나, 화보집 등을 수록한 한정판을 발매하거나 한정판 굿즈를 출시하기도 합니다. 패션 브랜드들은 유니크한 디자인, 특별한 소재, 협업 제품 등을 통해 한정판 의류 라인을 출시하여 소비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입니다.
스타벅스, 할리스커피, 던킨, 롯데리아 등에서는 한정판 ‘굿즈’ 제품을 출시하고 조기 완판 사례가 이어지며 한정판 굿즈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굿즈’란 특정 브랜드나 연예인 등이 출시하는 기획 상품으로 한정판 굿즈에 대한 소비자들의 소장욕구와 과시욕으로 굿즈 상품이 인기를 끌며 조기 품절이 되곤 합니다.
2019년 1월 주류업체인 디아지오는 신년 기념으로 조니워커 한정판인 '화이트 워커'를 제작했습니다.
이 제품은 미국의 인기드라마 '왕자의 게임'을 만든 케이블 방송사 HBO와 협업한 것으로 드라마 팬과 조니워커 팬 모두에게 관심을 끌었습니다. 한국에서는 '화이트 워커'가 492병만 한정 출시되었습니다.
자동차 회사들은 특정 기능, 색상, 내장 디자인 또는 특별한 휠과 같은 부속품을 갖춘 한정판 차량을 출시하여 소비자들의 주목을 끌고 판매량을 높입니다. 최고급 럭셔리 차 중 하나인 이탈리아 마세라티의 '콰트로포르테 스포츠 GTS'는 2억 5천만원으로 국내에 단 4대만 한정 수량으로 수입되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모두 팔렸습니다. 엄청난 고가였지만 한정판이라는 특수함이 더해져 최상류층의 눈길을 사로잡은 것이죠.
나이키는 에어 조단 레트로(Air Jordan Retro) 시리즈를 발매할 때마다 한정판 발매 전략을 사용합니다. 특정 디자인의 신발을 한정 수량으로 출시하여 수요를 높이고,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경우 흥미를 유발하여 구매욕구를 자극합니다.
스타벅스는 시즌별로 한정된 음료를 출시하여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예를 들어, 겨울 시즌에는 페퍼민트 모카 라떼와 같은 한정판 음료를 출시하여 고객들에게 새로운 맛과 경험을 제공합니다.
비디오 게임 산업에서는 스페셜 에디션을 통해 한정판 콘솔 또는 게임을 출시하여 수집가들과 열렬한 팬들의 주목을 끕니다. 예를 들어, PlayStation이나 Xbox의 특별한 디자인을 가진 한정판 콘솔이나 게임의 특별한 에디션을 출시합니다.
솔드 아웃(Sold Out) 품절, 매진
솔드 아웃(Sold Out)은 품절, 매진을 뜻합니다. 즉 특정 상품이 모두 판매되어 재고가 없는 상태를 표현하는 말이죠.
한정판 상품 구매를 고민하는 고객 입장에서는 해당 제품이 곧 솔드 아웃될 지도 모른다는 조바심이 들 수 있습니다.
물론 한정판의 이면에도 숨은 함정은 있습니다.
특별한 기능을 추가하지 않고 한정판이라는 이름만 붙여 팔거나 기업이 정확한 판매 수량을 밝히지 않은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소비자들은 한정판매라는 희소성에 속지 말고 제품의 본질과 소장가치를 충분히 따져서 현명한 소비를 해야 합니다.
'경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신뢰지수와 소비자심리지수, 소비자가 보는 경기전망 (0) | 2023.11.28 |
---|---|
경기종합지수와 경기동향지수, 경기 흐름을 읽는 지표 (2) | 2023.11.27 |
기회비용: 명시적비용과 암묵적비용 (1) | 2023.11.23 |
골디락스(Goldilocks)경제와 근원물가지수 관계(feat. 금발머리와 곰 세마리) (1) | 2023.11.22 |
파레토의 법칙: VIP 마케팅의 근거, 20%의 소비자가 전체 매출의 80% 차지한다 (2) | 2023.11.21 |